문제 상황이번에 서버 이전을 하면서 레거시 코드를 고치게 되었는데, 도메인 및 기타 하위 경로가 변경되었습니다. baseUrl을 변경한 후, 일부 경로가 호출 URL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정리해봤습니다.원래 baseUrl에는 도메인 주소까지만 작성되어있었습니다. 하지만 한 앱에서 하위 경로도 모두 동일하게 사용하는 부분이 있어서 해당 부분까지 포함해서 BaseUrl에 넣어뒀습니다.예를 들면 https://like.while.android/api/v1/ 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했습니다.baseUrl을 https://like.while.android/api/v1/로 설정했는데도, 실제 API 호출 시 /api/v1/가 생략되었습니다.이유는 interface의 endpoint path 설정에서 @GE..
문제 상황사용자가 프로모션 알림을 앱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이러한 알림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구현 순서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google-service.json 파일 다운로드필요한 종속성을 build.gradle에 선언AndroidManifest에 service 추가FirebaseMessagingService을 상속 받아서 구현 구현 방법Firebase Cloud Messaging을 활용하여 앱에서 프로모션 알림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구현 방법을 다음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1. 프로젝트 설정google-services.json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합니다.필요한 종속성을 build.gradle에 선언합니다.// appplugins { id("com.google.gms.google-se..
문제 상황팀 개발자분이 회사 안드로이드 앱이 난독화가 필요할 것 같다고 하셔서,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했던 개인 프로젝트들을 스토어에 올릴 때, abb 파일을 올리면 Progard 혹은 R8을 사용해서 난독화된 코드를 사용하라는 경고 메세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앱 난독화는 왜 해야하는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 정리하려고 합니다. 난독화난독화는 코드의 가독성을 떨어뜨려, 소스 코드를 분석하거나 역공학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난독화를 통해 코드의 변수명, 메서드명, 클래스명을 의미 없는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코드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어서 코드를 읽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는 주로 소스 코드의 보안을 강화하고, 소스 코드의 무단 복제나 악의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
문제 상황펌웨어 업데이트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CRC32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려고 합니다. CRC32은 어떤 것이며, 안드로이드 앱에서 이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왜 CRC32를 사용해야하는가?CRC32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체크섬 기법 중 하나입니다. 데이터가 전송 도중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데이터 손상을 감지하고 재전송 요구 없이 효율적으로 오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체크섬(Checksum)은 주어진 데이터의 일부를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하여 생성됩니다. 이 값은 데이터 블록이나 파일의 모든 비트를 고려하여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고유한 데이터 시그니처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가 손상되었는지 ..
문제 상황앱에서 PDF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버전에 따라서 필요한 권한과 사용 함수가 다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버전을 체크하고 다운로드 하는 기능을 구현해야합니다. 제 프로젝트는 minSdk가 26, targetSdk가 34이기 때문에 26 이상의 버전들에 대해서 처리해야합니다. 안드로이드 6 (API 레벨 23) 이상런타임 권한 요청: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스토리지 접근 권한을 런타임에 요청해야 합니다. READ_EXTERNAL_STORAGE와 WRITE_EXTERNAL_STORAGE 권한이 필요합니다. 안드로이드 10 (API 레벨 29) 이상스코프드 스토리지 도입: 애플리케이션은 자신의 내부 저장소 또는 특정 유형의 파일(예: 사진, 비디오, 오디..
문제 상황현재 블루투스 권한이 없을 때, 스캔을 시도하면 버튼을 눌러도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없습니다. 요구 사항해당 기능을 사용하려고 할 때, 권한 체크를 수행하고 권한이 없을 경우, 다음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이전에 권한 요청을 했다면권한이 필요한 이유를 팝업으로 표시설정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 제공이번이 권한 요청이 처음이면바로 권한을 요청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절차휴대폰 블루투스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기앱에서 블루투스 관련 권한 받기스캔하기기기 연결하기 블루투스 상태 모델앱에서 블루투스 상태관리를 위하여 다음의 모델을 사용했습니다.DISABLED: 사용자에게 블루투스를 활성화할 것을 요청합니다.PERMISSION_DENIED: 사용자가 필요한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을 때, 설정으로 유도하여 ..
문제 상황HomeViewModel에 있는 message라는 변수를 통해서 snackbar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뷰모델에서 api 통신시 발생하는 에러도 사용자에게 snackbar로 알려주고 싶어서, 뷰모델에 관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snackbar에 관련된 기능을 모아둔 유틸 파일을 하나 만들려고 합니다. SnackbarSnackbar는 Android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간단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UI 요소입니다. Snackbar는 화면 하단에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이나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때 유용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작업 중에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Snackbar.make(view, "Item..
문제 상황테스트를 하는데, 앱 종료가 불가능한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다음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작성한 BackHandler의 enabled 조건이 문제였습니다.navController = rememberNavController()BackHandler( enabled = navController.currentBackStackEntryAsState().value?.destination?.id != navController.graph.startDestinationId,) { navController.popBackStack()} 위 코드에 따르면 BackHandler 컴포넌트는 NavController의 현재 백스택 항목이 시작 목적지가 아닐 때만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버그 빌드
- compose
- 백준
- 블루투스개념정리
- 안드로이드
- hilt
- release build
- api 경로
- newtoken
- @provides
- retrofit
- missingbinding
- Kotlin
- 코틀린
- java
- tomap
- 상단알람
- 데이터무결성체크
- SSAFY
- this
- 모바일트랙
- 릴리즈 빌드
- SWEA
- okhttp
- 싸피
- Android
- 빌드 타입
- 알고리즘
- connecttimeout
- build type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